작년 트레일러 판매량 2,703대…전년비 4%↑
시장 침체로 트럭보다 트레일러로 교체 수요↑
새 정부 출범에 안전운임제 부활 기대감 확산


국내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트럭 시장 전반이 부진에 빠졌음에도, 지난해 트레일러 특장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상용차 등록 데이터를 가공, 본지에 독점 제공하고 있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신차 신규 등록 기준) 화물용 트레일러(레저·푸드·보트·캠핑용 트레일러 제외)는 총 2,703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606대) 대비 약 4%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증가세는 경기 악화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운송 업체들이 고가의 트럭 교체보다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트레일러를 우선 교체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컨테이너 섀시_ 전체 트레일러 판매량의 절반 넘어
컨테이너 섀시 트레일러(이하 컨·섀시)는 안전운임제 시행 이후 연 3,000대 이상 판매돼 트레일러 시장을 주도해 왔다. 2022년 말 안전운임제 일몰 이후에는 연 1,500대 수준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트레일러 시장의 판매량을 견인하고 있다.
지난해 컨·섀시는 총 1,605대가 판매돼 전년도(1,550대) 대비 소폭 증가했다. 이는 전체 트레일러류 특장차 판매량의 57.3%에 해당한다.
국산 및 수입산 브랜드별로는 한국특장차가 710대를 판매해 1위를 기록했고, 이어 ▲투데이모터스 178대 ▲미래하이텍 144대 ▲케이원모터스 115대 ▲캐스보러(Kssbohrer) 100대 순이었다. 지난해에 총 17개 업체가 컨테이너 섀시를 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판 트레일러_ 넓은 범용성에 신규 등록 32%↑
다양한 중량물 화물 운송이 가능한 평판 트레일러는 267대가 판매됐다. 이는 전년도(202대) 대비 약 32.2% 증가한 수치로, 전체 트레일러 판매량의 16.6%에 해당한다.
평판 트레일러는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량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크다. 이에 컨·섀시 수요와 함께 판매량이 상승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브랜드별로는 ▲리드글로벌 77대 ▲미래하이텍 45대 ▲동우특장차 42대 ▲보고 27대 ▲한국특장차 26대 순으로 집계됐다. 총 16개 업체가 평판 트레일러를 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크 트레일러_ 건설 침체 장기화에 23%↓
반면 벌크시멘트 트레일러(BCT, 이하 벌크 트레일러)는 건설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하며 판매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벌크 트레일러의 판매량은 총 251대로, 전년도(327대) 대비 23.2% 감소했다. 이는 전체 트레일러 특장차 판매량의 약 9%를 차지하는 수치다.
브랜드별로는 두성특장이 99대를 판매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디엘 88대 ▲한성특장 74대 ▲동우특장차 63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총 6개 업체가 1대 이상의 벌크 트레일러를 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탱크 트레일러_ 석유 화학 위기에도 소폭 증가
석유 및 화학 산업과 연관이 깊은 탱크 트레일러는 총 166대가 판매돼 전년도(147대)보다 12.9% 증가했다.
중국발 공급 과잉, 글로벌 수요 둔화 등 복합 위기에 직면한 석유화학 산업이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과 투자 확대에 따른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판매량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브랜드별로는 ▲한국특장차 96대 ▲삼호정공 15대 ▲디엘 15대가 집계됐으며, 총 11개 업체가 탱크 트레일러를 제작했다.

저상 트레일러_ 고중량물 수요로 22%↑
고중량 화물 운송에 적합한 저상 트레일러는 지난해 총 138대가 판매돼 전년(113대) 대비 22.1% 증가했다. 전체 트레일러 판매량의 4.9% 수준이다.
건설 자재 수요는 줄었지만, 풍력 발전 설비 등 고중량 화물 운송 수요가 시장의 일정 부분을 지탱한 것으로 분석된다. 브랜드별로는 ▲대흥중공업 76대 ▲명성중공업 36대 순으로 신규등록됐다. 총 10개 업체가 저상 트레일러를 제작한 것으로 집계됐다.

안전운임제 부활 기대감에 화물운송업계 ‘활기’
한편, 제21대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의 부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안전운임제 폐기 이후 도입된 표준운임제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지속적으로 법안 추진을 이어왔기 때문이다.
트레일러 제조업체 관계자는 “화물차주의 운임을 보장했던 안전운임제가 폐지된 이후, 대체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 상태”라며, “정권 교체를 계기로 안전운임제가 부활한다면 트레일러 시장 뿐 아니라 화물 업계 전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