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버스 2,000대, 수소화물·특장차 10대 구입비 지원
차량 안전성 확보 위해 스택 교체 지원 및 정비망 확대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으로 올해 누적 450기 설치 목표

수소충전소에서 수소를 충전 중인 수소상용차의 모습
수소충전소에서 수소를 충전 중인 수소상용차의 모습

환경부가 2025년 수소전기자동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이하 보조금지침)을 1월 2일자로 확정하고, 2025년도 수소차 보급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수소버스를 1,000대 이상(전년 대비 277% 증가) 보급했으나, 성능 향상과 안전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에 수소차량 보급 확대와 성능 및 안전성 제고를 위한 2025년도 보조금 지침을 개편했다.

첫째, 2025년 수소차 보급 지원 예산은 총 7,218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를 통해 수소버스 2,000대, 수소화물차와 수소청소차 각각 10대의 구매를 지원한다. 또한 수소버스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보증 기간이 지난 수소버스의 연료전지 118개 교체 비용도 지원할 예정이다.

둘째, 수소버스 차종 다양화와 성능 향상을 위해 우수한 차량 보급을 유도한다. 지난해 8월 신설된 수소버스 성능평가 기준에 따라, 연료전지 출력과 1회 충전 주행거리 등 11가지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에만 구매 보조금을 지원한다.

셋째, 수소버스의 안전 점검과 유지보수를 위해 제작사에 정비센터 확충과 긴급 출동 서비스를 의무화한다. 제작사는 수소버스 보급 권역마다 최소 1곳의 정비망을 갖추어야 하며, 100대 이상 보급 권역은 2곳 이상, 500대 이상은 3곳 이상의 정비센터를 설치·운영해야 한다.

환경부는 수소충전소 구축도 확대한다. 지난해 86기의 수소충전소를 추가 구축(누적 242개소, 386기)했으며, 62기의 상용차 전용 수소충전소를 설치해 충전 인프라를 확충했다.

올해는 전년 대비 8% 증액된 1,963억 원을 투입해 64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설치하고, 기존 CNG 충전소의 수소충전소 전환과 공영차고지 내 충전소 확충을 검토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올해 누적 충전소 설치 목표를 450기로 잡았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올해에도 수소버스 보급 확대를 이어가며, 수소차 생태계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조금 개편안을 담은 지침은 1월 2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