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호환·무인 군집주행 등 기술 상용화 단계
군집주행 시대 대비 관련법규 신설·개정 중

유럽, 일본 등 해외 선진국에선 화물차주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고령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군집주행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이 업계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자율주행이 가능한 군집주행 기술이 완성된다면 운전자 1~2명만으로도 5대의 트럭을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해외 상용차 선진국을 중심으로 군집주행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인 군집주행, 통신 호환 등 상용화에 집중
유럽은 상용화 단계를 앞두고 군집주행 관련 구체적인 로드맵과 규제 혁신 방안을 내세워 도입 시기를 앞당기려 하고 있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2022년부터 군집주행 관련 통신을 호환해 상용차 브랜드에 상관없이 고속도로에서 군집주행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네덜란드는 유럽 전역에서 군집주행이 가능하도록 ‘앙상블(ENSEMBLE, ENabling SafE Multi-Brand pLatooning for Europe) 프로젝트’를 시행, 올해까지 각기 다른 상용차 브랜드의 트럭들이 공동으로 통신할 수 있는 플랫폼 ‘화이트 브랜드 트럭(White Brand Truck)’을 개발하고 있다.
스웨덴은 자국 상용차 브랜드 스카니아와 볼보트럭이 함께 군집주행 실증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공공교통 및 도시물류에 군집주행을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까지 양사는 스웨덴 말뫼(Malmö)와 옌셰핑(Jönkping) 지역을 오가며 총 17,000km의 군집주행 데이터를 쌓았다.
일본도 군집주행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소프트뱅크가 신토메이 고속도로에서 트럭 간 5G 기술을 도입, 선두 차량에만 운전자가 탑승한 채 나머지 2대를 무인으로 따라가는 방식의 군집주행을 선보인 가운데 내년까지 도쿄와 오사카 도로에 군집주행을 실용화할 계획이다.
군집주행 상용화 위한 국가별 통일 기준 필요해
유럽은 군집주행 관련 국가별 통일기준을 마련하는 등 여러 관련 규정을 손보고 있다.
ACEA에 따르면, 국제연합(UN), 유럽연합(EU) 등 검토해야 할 규정을 정리하고, 향후 유럽에서 논의될 군집주행 조항으로 ▲통일된 조항 ▲안전거리 기준 마련 ▲도로 위험물 운송(ADR) ▲차량 에너지 소비량 계산 등을 제시했다.
이중 군집주행 차량 관련 통일된 조항이 가장 시급하다. 국제연합 내에선 제동 시스템, 조향 장치, LDWS, 긴급제동장치에 관해 통일된 기준을 마련해야 하며 유럽연합 내에선 교통법규, 운전자 모니터링, 형식 승인, 도로 표지판 등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차량속도와 관련하여 통일된 안전거리 기준도 마련돼야 한다. 또한, 위험물 도로운송에 대한 법적 책임도 논의될 전망이다. 그간 유럽은 위험물 운송에 관한 규칙(ADR)에 따라 WTO 회원국이 위험물 도로운송에 관한 책임을 졌는데 군집주행과 관련된 조항은 별도로 없다.
군집주행에 맞춰 새로운 차량 에너지 소비량 계산 툴(VECTO)도 필요하다. 유럽은 트럭 브랜드로 하여금 VECTO 설치를 의무화하고 탄소 배출 및 연료 소비량을 상시 측정하고 있다.
향후 군집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뒤따르는 차량은 공기 저항을 덜 받게 되는데 이를 감안한 VECTO 도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