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 전 전기버스 상용화 이뤄질 가능성 높아
교체 비용 부담으로 사업자들 외면 할 수도

차세대 그린버스로 각광을 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버스에 대해 사업성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버스업계 일각에서 제기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존동력과 전기동력을 도로 상황에 맞추어 동시 혹은 번갈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버스는 환경성, 안정성, 효율성 면에서 기존 CNG버스 보다 모두 뛰어나 최근 노후화 된 CNG버스를 대체할 수단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더욱이 환경부가 추진하는 CNG하이브리드 버스와 정유업계가 추천하는 클린디젤하이브리드 버스가 비슷한 시기에 개발돼 유래 없는 경쟁양상으로 국민의 호기심을 자극한 바도 있다.

그러나 이번에 제기된 우려에 따르면, 전기버스에 대한 기술력의 향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돼 하이브리드 버스 도입에 대한 사업성 자체가 유명무실해 질 수 있다고 한다.

버스 업계 한 관계자에 따르면“최근 하이브리드 버스가 언론을 통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친환경 버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기버스”라며, “전기버스에 대한 기술력이 빠르게 발전되고 있어 하이브리드버스는 확산되기도 전에 퇴출 위기에 몰릴 가능성이 높다”고전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이미 남산에 전기버스가 노선을 할당받아 상용화 되고 있다”며, “빠르면 5년 안에 전기버스의 상용화가 이뤄질 수도 있다”는 구체적인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디젤하이브리드이든 CNG하이브리드이든 어차피 전기버스로 가는 중간단계 차량에 불과하기 때문에 버스사업자 입장에서는 몇 년 쓰지도 못 할 하이브리드 버스를 굳이 비싼 돈을 들여 교체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설사 불가피하게 교체하더라도 수량을 최소화 할 것이므로 하이브리드 버스 사업 자체의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하이브리드 버스 도입계획 역시 단계적인 교체로 방향을 잡고 있어 이같은 의견에 설득력을 더한다.서울시는 이미 2020년까지 전체 운행 버스의 절반인 3,800대 이상을 전기버스로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환경부 역시 전기버스의 실증을 위해 한국 환경공단 직원의 출퇴근용으로 전기버스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디젤하이브리드를 개발한 대우버스의 한 관계자는“하이브리드 버스나 전기버스나 모두 정부의 보조금으로 추진되는 사업들”이라며,“현 시점에서는 어떤 종류의 버스가 상용화에 우세를 가졌다고 할 수 없지만 향후 상황 변화에 대해서는 정부의 의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