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기술 확산…상용차 산업 변화 촉진
세계 중대형 트럭 산업의 수요가 지난해에 비해 소폭 상승하며 판매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전문 리서치 기관인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지사가 발표한 ‘2016 세계 중대형 트럭 산업 전망 보고서(2016 Outlook of the Global Medium-Heavy Duty Truck Industry)’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중대형 트럭판매량이 268만대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판매량인 262만대에 비해 약 2.4% 상승한 수치로써 지난 2년 동안 컨넥티비티와 텔레매틱스 등 상용차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의 확산을 수요상승의 주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화물중개업의 발달로 인해 상용차 제작사 간의 자율주행 차량 개발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 질 것이며, 차량 사전 진단과 같은 서비스 수요가 기업 간 비즈니스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과 남미, 러시아 시장 등은 불안한 경제적, 정치적 상황이 중대형 트럭시장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 중대형 트럭 시장은 3.2%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많은 상용차 제작사들이 중국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또한, 현재 연료의 가격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2016년 판매 될 중대형 트럭의 93%는 디젤엔진을 장착할 것으로 보이고 조만간 운전자 관련 부품 비용이 상승하면서 차량 유지비용 중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밖에 상용차 제작사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 운전자를 위한 건강과 웰빙 기술에도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하며, 의료 기술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