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자동차 배기가스 종합전산시스템 분석]

4등급 42만 대, 5등급 29만 대…감소세 지속
DPF 장착 4등급 차량도 연평균 12% 이상 감소
5등급 차량 20만 대 감소, 여전히 29만 대 운행 중
화물차 위주 노후 상용차, 지속적 감축 지원 필요

정부의 조기 폐차 지원 정책에 힘입어 전국의 1톤 이상 노후 경유 화물차 및 버스(이하 노후상용차)가 꾸준히 감소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전히 수십만 대가 도로를 달리고 있어 대기질 개선을 위한 과제는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환경부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MECAR)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배출가스 4·5등급 노후상용차는 70만 3,333대(보험가입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조기폐차 대상이 5등급에 한정됐던 마지막 해인 2022년(108만 4,763대)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5.2% (38만 1,430대) 감소한 수치다.

정부는 2005년 이후, 1톤 이상 노후상용차를 대상으로 조기 폐차 지원 정책을 시행해 왔다. 기존에는 5등급 차량만 해당됐지만, 2023년부터는 DPF (매연저감장치)가 장착된 4등급 차량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3년간 약 38만 대가 감소해, 연평균 약 1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그럼에도 70만 대가 넘는 노후차가 도로를 달리고 있어, 생계형 화물차 비중과 교체 속도에 따라 향후 대기질 개선 효과가 달라질 전망이다. 

환경부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MECAR)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배출가스 4·5등급 노후상용차는 70만 3,333대(보험가입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조기폐차 대상이 5등급에 한정됐던 마지막 해인 2022년(108만 4,763대)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5.2% (38만 1,430대) 감소한 수치다.

23년부터 DPF 장착 4등급 차량도 조기폐차 대상…
제도 시행 이후 연평균 5만 4천여 대 감소

차종별로는 화물차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2025년 7월 현재, 2006년 기준치를 충족하는(유로4) 4등급 차량 가운데 화물차는 33만 7,239대로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령의 제한이 있는 버스(승합)는 8만 494대가 확인됐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4등급 화물차는 2022년 47만 6,092대에서 2023년 42만 891대, 2024년 36만 7,760대로 줄었다. 매년 평균 12.1% (약 5만 4천여 대)가 감소한 셈이다. 다만 경기 침체 등 대내외 요인으로 신차 교체 수요가 감소하면서 감소세는 5등급보다 완만했다.

버스 역시 감소세를 보였다. 2022년 12만 9,243대에서 2023년 11만 133대, 2024년 9만2,172대로 줄어 매년 평균 15.5%(약 1만 8천여 대)가 감소했다. 화물차보다 절대적인 수치는 낮지만, 만성적인 신차 출고 지연으로 수요 대비 공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5등급 차량 23년 이후 3년간 20만여 대 줄어…
화물차가 전체의 92.6% 차지

2002년 7월의 기준치를 충족하는(유로3 이하) 5등급 차량의 감소 폭은 더욱 뚜렷했다. 2022년 47만 9,428대에서 2025년 7월 28만 5,600대로 줄어 약 40%(19만 3,828대) 감소했다. 이는 전체 상용차 등록 대수(434만 8,962대)의 6.6%에 해당되는 수치다. 차종별로는 화물차가 26만 4,529대로 92.6%를 차지했고, 버스는 7.4%(2만 1,071대)에 그쳤다. 

연도별로 보면 5등급 화물차는 2022년 43만 3,743대에서 2023년 35만 3,2 08대, 2024년 29만 3,473대로 줄어 연 평균 17.7%(약 7만여 대) 감소했다. 차령이 누적된데 정기검사 불합격 등으로 폐차되는 사례가 많아 감소 폭이 컸다는 분석이다.

화물차와 버스의 감소세 차이는 차령 제한 여부에서 크게 나타난다. 화물차는 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령 제한이 없어 상대적으로 오래 운행할 수 있지만, 버스는 내구 연한이 끝나면 폐차되거나 수출 말소되는 경우가 대다수기 때문이다. 현재 남아 있는 노후상용차의 상당수는 화물차로, 교체 속도가 늦을 경우 향후 대기질 개선 효과가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의 조기 폐차 지원, 차량 교체 수요가 맞물리면서 노후상용차의 감소세가 지속된다고 보고 있다. 2005년 전후로 1톤 이상 화물차와 버스를 대상으로 조기 폐차 지원이 시작되고, 2023년부터 4등급 차량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면서 감소 속도가 더욱 빨라진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여전히 70만 대가 넘는 노후상용차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는 점은 앞으로의 과제로 꼽힌다. 특히 생계형 화물차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만큼, 이들 차량의 교체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지가 향후 대기질 개선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또한 생계형 화물차 운전자들의 부담을 줄이는 보조금 확대, 금융 프로그램 지원 등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를 통해 노후상용차 교체 속도를 높이고, 장기적으로 대기환경 개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