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화 부품 설계로 최대 16종 바디 구성 가능
후측 가니쉬ㆍ외골격 구조로 강성·안정성 확보
맞춤형 활용도 강화…대형급 PBV로 라인업 확대

기아 최초의 PBV 라인업 '더 뉴 PV5' 패신저와 카고의 모습. 
기아 최초의 PBV 라인업 '더 뉴 PV5' 패신저와 카고의 모습. 

기아가 새로운 차체 설계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더 기아 PV5(이하 PV5)’에 적용해,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차체와 무빙류(도어ㆍ테일게이트 등), 외장, 내장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사양을 유연하게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한 PBV 특화 기술이다. ‘블록처럼 조립하는 바디’라는 개념에 따라 설계·제작돼, 고객의 용도에 맞춘 맞춤형 차량 구성이 가능하다.

PV5의 전면부와 1열 구조는 전 모델 공통으로 적용되며, 1열 이후의 후면부는 모델별로 차별화해 테일게이트, 쿼터 글라스, 루프 등 외장 부품을 조립식 구조로 설계했다. 이를 통해 바디 라인업을 최대 16종까지 확장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으며, ▲패신저(롱) ▲카고 컴팩트(3도어/4도어) ▲카고 롱(3도어/4도어) ▲카고 하이루프(3도어/4도어) 등 총 7종을 우선 개발했다.

PV5 전 모델은 1열과 전면부는 공통 부품을 사용하고, 후면부는 모델별로 차별화된 설계를 적용했다.
PV5 전 모델은 1열과 전면부는 공통 부품을 사용하고, 후면부는 모델별로 차별화된 설계를 적용했다.

이같은 설계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모듈화된 부품 조립 방식을 통해 생산 효율성도 함께 향상됐다. 기아는 여기에 유지보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조립형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와 '외골격 환형 구조'도 적용했다.

조립형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는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해 차량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세 조각으로 구성돼 후방 충돌이나 스크래치 발생 시 손상 부위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정비 편의성을 높인다.

이와 함께 적용된 '외골격 환형 구조'는 차체 골격을 외측까지 확장시킨 형태로, 구조적 안정성과 차체 강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생산 효율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퍼즐처럼 모듈화된 부품 설계를 통해 차체 강성은 물론, 생산 효율성까지 크게 향상됐다.
퍼즐처럼 모듈화된 부품 설계를 통해 차체 강성은 물론, 생산 효율성까지 크게 향상됐다.

트렁크 공간 역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기반으로 유연한 활용이 가능하다. 러기지 사이드 트림은 바디 사양과 고객 선호도에 따라 총 7종으로 운영되며, 기아 애드기어와 L-Track 마운팅 등 다양한 용품을 장착할 수 있는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개발을 총괄한 이영호 MSV바디설계1실 상무는 "블록식 모듈 조립 개념은 도전적인 과제였지만, 결과적으로 PBV 시대에 부합하는 차량 개발 방식의 전환점을 만들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아는 이달 중 PV5 패신저 5인승과 카고 롱 모델 양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델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2027년에는 대형급 PBV를 출시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고객 맞춤형 모빌리티 수요에 폭넓게 대응할 방침이다.

더 뉴 PV5에 적용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의 모습.  
더 뉴 PV5에 적용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의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DB브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