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초저온 저장 기술력 기반 액화수소 모빌리티 시장 공략 본격화
액화수소 분야 시장 성장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수송 분야 전략적 확대

크리오스의 회사 전경 모습이다. (사진 : 크리오스)
크리오스의 회사 전경 모습이다. (사진 : 크리오스)
크리오스의 회사 로고이다. (사진 : 크리오스)
크리오스의 회사 로고이다. (사진 : 크리오스)

초저온 특수가스 탱크 전문 회사인 크리오스(대표 김대성)는 2025년 역대 최대 규모의 수주가 가시화되면서, 액화수소 저장·수송 분야에서 본격적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고 29일 밝혔다. 크리오스는 특수강 소재 기업인 대창솔루션의 자회사로, 초저온 LNG 기술력을 기반으로 액화수소 탱크 설계 및 제작에 있어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2025년 예상 수주액은 연초 계획을 상회한 총 500억 원 규모로, 이 중 ▲ 약 100억 원 규모의 액화수소 저장·수송 탱크 수주 ▲280억 원 수준의 선박 엔진 제조사 H사의 시험용 LNG 엔진 EPC 계약(설계, 조달, 시공을 계약자가 모두 책임지는 계약) 및 기타 LNG ▲120억 원 상당의 기타 특수 가스용 탱크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2025년의 매출은 약 260억 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특히, 설계 전문 고객사인 L사가 반도체 공정 라인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2기를 2024년에 발주한데 이어 6월 말에 납품을 완료 후 즉시 2기를 추가 발주할 전망이다. 또한, 국내 S사와는 5기의 액화수소 저장탱크 공급 계약을 지난 4월에 맺었고, 5대의 수송 탱크 공급 계약을 올해 하반기에 예정하고 있으며, 2026년 상반기는 저장 탱크에 대한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

아울러, 국내 H사로부터도 올해 하반기 3톤 급 수송 탱크 신규 수주가 예정되어 있으며, 국내 수소 관련 기업들로부터 연속으로 수주를 기록함에 따라 액화수소탱크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크리오스는 중장기적 목표인 모빌리티용 액화수소 탱크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상용차용 액화수소 탱크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다양한 모빌리티 시장에 적용될 수 있는 액화수소 탱크를 공급해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며, 2026년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함으로써 신규 공장 건설 자금을 확보하고, 공급 역량과 외형 성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김대성 크리오스 대표이사는 “LNG 저장기술로 축적한 초저온 설계 및 단열 기술을 기반으로 액화수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다.”라며, “기술 진화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크리오스는 최근 네덜란드 로테르담 아호이(Ahoy)에서 열린 ‘2025 세계 수소 서밋 & 전시회(World Hydrogen 2025 Summit & Exhibition)’에 국내 대표 수소기업 자격으로 초청돼 액화수소 수송용 탱크 트레일러와 육상용 저장 탱크를 선보였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