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톤~16톤 카고① 2023 실거래價 분석

6×2 준대형, 국산 1억 300만, 수입산 1억 4,600만 원
톤급·구동축 높아질수록, 국산-수입산 가격차 벌어져
4×2 준대형, 중형 보다 출력 높이면서 750만 원 높여

최근 파워트레인과 적재함 크기 같은 사양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가격이 큰폭으로 상승했던 중형 트럭모델은 신규 안전 사양의 적용등으로 지난해에도 가격이 상승한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파워트레인과 적재함 크기 같은 사양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가격이 큰폭으로 상승했던 중형 트럭모델은 신규 안전 사양의 적용등으로 지난해에도 가격이 상승한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가 분석 개요 = 가격 선정 차급은 주로 적재중량 4.5톤 이상 7.5톤 이하로 등록되는 중형 카고 트럭(280마력, 구동축 기준 4×2/6×2)와 국토부 등록 기준상 적재중량 4.5톤 이상 16톤(증톤 포함) 이하로 등록되는 준대형 카고 트럭(300마력 이상, 구동축 기준 4×2/6×2)로 한정했다. 가격 비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장의 여부와 상관없는 일반 적재함형 카고 모델만을 조사했다. 구동축별 준대형 트럭 제품 중 등록대수가 10대 미만인 6×4 모델과 8×4 모델은 조사에서 제외했다. 브랜드별 주력모델 구성과 가격 정책이 상이하므로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다. 

적재중량 4.5톤~16톤 중형·준대형(이하 중형급) 트럭시장은 최근 5년 사이 화물운송 시장 업종 개편과 증톤 규제 완화와 트럭 제조사들의 신제품 전략이 맞물려 급변했다. 

과거 가변축(4×2→6×2) 장착을 통하여 10톤 수준의 적재물까지 실을 수 있어 가성비 차원에서 많은 인기를 구가했던 중형 트럭 시장이, 증톤 규정 완화에 맞춰 신규로 형성된 준대형 트럭에 자리를 내줬다.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중형 트럭시장의 주력 모델들이 단종되고, 파워트레인과 적재함 크기가 업그레이드 된 준대형 트럭 모델들이 신규로 출시되며 결과적으로 트럭 소비자들은 큰 폭의 가격 인상을 경험했다. 이러한 가격 인상 추세는 신규 안전 사양 등의 적용으로 지난해에도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280마력급 4×2 중형 카고(4.5 ~7.5톤으로 등록)
가변축 없고 출력 낮은 가성비 위주

지난해 판매(신차 신규등록)된 적재중량 기준 4.5톤 이상 7.5톤 이하 280마력급 중형 카고 4×2 모델 표본 29대의 평균 실거래 가격(특장 제외)을 분석한 결과, 모두 국산으로 대당 7,58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2년(7,380만 원) 대비 평균 8.2% 올랐다.

낮은 엔진 출력과 가변축이 달려 있지 않은 구동축 4×2의 중형 트럭은 고소작업차나 카고크레인, 유조차 등의 특장을 선호하는 구매 특성을 갖고 있다. 파워트레인 사양이 중형급 제품군에서 가장 낮기 때문에 대부분 가성비 위주의 국산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지난해 판매된 가장 저렴한 4×2 중형 카고 모델은 노부스(280마력)로, 실거래가는 7,340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 280마력급 6×2 중형 카고(4.5~  9톤으로 등록)
1,500만 원 가변축 달아 적재량↑

280마력급 6×2 중형 카고는 과거 중형 트럭을 중대형 트럭시장에서의 핵심 차급으로 명맥을 잇게 했던 모델이다. 기존 5톤 이하 4×2 중형 트럭에 가변축을 장착, 적재 가능중량을 여유롭게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등록된 6×2 중형 카고의 적재중량은 최대 9톤까지 등록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장을 제외한 기본 카고형 기준으로, 지난해 판매된 적재중량 4.5톤 이상 9톤 이하 6×2 중형 카고 트럭(표본 268대)의 가격은, 국산(280마력)의 경우 평균 1억 168만 원, 유럽산(290마력)은 1억 3,898만 원으로 나타났다. 2022년 9,464만 원, 1억 3,413만 원 대비 각각 7.4%, 3.6%씩 올랐다. 

지난해 판매된 4.5톤~9톤급 6×2 중형 카고의 가장 저렴한 모델의 실거래가는 국산의 경우 구쎈(280마력)이 8,940만 원, 수입산은 만 TGM(290마력)이 1억 2,660만 원으로 나타났다.

■ 300마력급 4×2 준대형 카고(4.5~8.5톤으로 등록)
출력 높여 중형 대비 750만 원 비싸

2019년 화물운송시장 업종 개편 직후 신규로 출시된 현대차 파비스가 주도하고 있는 준대형 트럭 중 가장 기본 모델인 300마력급 4×2 모델은 지난해 4.5톤부터 8.5톤의 차급 대비 비교적 낮은 적재중량으로 등록됐다. 

지난해 판매된 준대형 카고 4×2 모델 표본 1,056대의 평균 실거래 가격을 조사한 결과, 국산은 대당 8,334만 원, 수입산은 대당 1억 1,440만 원가량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7,990만 원, 1억 890만 원 대비 각각 4.3%, 5.1%씩 올랐다. 

인천의 한 차주는 “과거 280마력 메가트럭이었으면 충분했을 걸, 단종되면서 가장 낮은 사양의 파비스로 구매했다”며, “차는 좋긴 한데, 괜히 비싼 돈만 준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로 4×2 중형 카고 대비 평균 754만 원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판매된 4×2 준대형 트럭의 가장 저렴한 모델 실거래가는 300마력 파비스가 7,030만 원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 300마력급 6×2 준대형 카고(4.5 ~16톤으로 등록/증톤 포함)
국산-수입산 성능 만큼 가격차 벌어져

중형급 트럭은 구동축 6×2 모델서부터 진가가 발휘된다. 축을 하나 더 추가하면서 적재중량 8톤가량의 추가 이득을 볼 수 있는 것. 그만큼 지난해 등록된 300마력급 6×2 준대형 카고의 적재중량도 4.5톤에서 16톤까지 고루 분포됐다. 하지만 그만큼 가격도 높다

지난해 판매된 적재중량 4.5톤 이상 16톤 미만 6×2 준대형 카고의 실거래 가격(표본 2,407대)은 국산(300~325마력)의 경우 평균 1억 2,999만 원, 수입산(300~350마력)은 1억 4,643만 원에 형성됐다. 2022년 1억 17만 원, 1억 3,811만 원 대비 각각 2.8%, 6.0% 인상된 금액이다.

모든 중대형 트럭 제품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차급인 만큼 윙바디나 카고크레인 등 매우 다양한 목적의 특장차로 구조변경돼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판매된 6×2 준대형 카고의 가장 저렴한 모델 실거래가는 국산은 300마력 파비스 8,290만 원, 수입산은 이베코 유로카고(320마력)와 볼보 FE(350마력)가 1억 2,300만 원에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 상세한 통계와 그래프는 상용차매거진 122호(4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상세한 통계와 그래프는 상용차매거진 122호(4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