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화물차 대당 최대 4억 5,000만 원 보조
6x4 윙바디 모델, 한번에 최장 570km 주행
올해 말까지 상용차 수소충전소 68곳 구축

정부가 수송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 화물차 100대를 보급한다. 
정부가 수송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 화물차 100대를 보급한다. 

정부가 올해 말까지 11톤급 수소화물차 100대 보급과 함께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를 68곳으로 확대하며 본격적인 수소 화물차 보급에 나선다.

3일 환경부는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공공기관 및 지자체.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 사업자,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와 함께 ‘수소화물차 수요 발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수소화물차 보급 정책 소개와 함께 수소화물차 생산자와 수요자인 주요 지자체와 물류사 간의 ‘공급-수요 맞춤형 지원방안’이 논의됐다.

우선 수송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올해 안으로 수소화물차 100대를 보급한다. 이번에 보급될 수소 화물차는 지난해 11월 출시된 현대 엑시언트 수소트럭으로 적재중량 11톤급 6X4 윙바디 모델이다. 350kW 고효율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충전에 최장 570km를 달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가의 수소 화물차 구매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조금도 지원된다. 수소화물차 1대당 최대 4억 5,000만 원(국비 2억 5,000만 원, 지자체 2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동일 톤급의 경유화물차(1억 6,000만~2억 1,000만 원) 수준으로 구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수소 1kg당 4,100원의 연료보조금도 지급된다.

아울러 충전 편의를 늘리기 위해 화물차 전용 충전소 구축 사업도 추진 중에 있으며 올해 말까지 상용차 충전이 가능한 수소충전소를 68곳까지 늘린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시간이 짧아 대형상용차에 특히 적합하다”며, “보급 초기 단계인 수소화물차의 보급을 위해 현장 중심의 수요 발굴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수송 분야의 탈탄소를 실현하기 위해 주요 물류사에 총 5대의 11톤급 수소화물차를 1년간 운행해 성능을 점검하는 ‘수소화물차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