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VTC 제시 친환경 상용차 보급 ‘5개 기준’
① 국가별 디젤 단종시기 ② 배기가스 규제 적용
③ 인센티브 ④ 인프라 ⑤ 향후 과제 등이 그 기준
충전소 인프라 확충·TCO 향상도 뒷따라야

대형 전기트럭 충전모습
대형 전기트럭 충전모습

글로벌 상용차 업계에선 2050년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전기·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상용차 개발 및 보급이 한창이다.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자동차 운행대수 중 약 10%가 상용차인데, 이들이 전체 자동차 매연의 78%를 내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 세계에선 무공해차 전환을 앞당기기 위한 제도를 개발하고 있으며 각국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고 있다.

ICCT에 따르면 유럽, 미국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은 최근 장관급 협의체인 무공해차 전환 위원회(ZEV Transition Council, 이하 ZEVTC)를 출범, 친환경 상용차 보급 제도를 연구하고 있다.

ZEVTC는 현재 유럽·미국 등 상용차 선진국들은 2030~2045년 내에 디젤 상용차 생산을 중단하고 무공해차로 전환하기 위해 전기·수소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 제작되고 있는 친환경상용차 모델엔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젤차 ‘규제 강화’, 친환경차 ‘의무 판매’ 병행
ZEVTC 회원국은 장기적으로 디젤차 퇴출 시기를 정하고 현재 운행·제작되는 디젤 차량에 대한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친환경 상용차 의무 판매’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럽은 나라마다 다르지만 2030~2040년 내에 디젤 경상용차(LCV: 총중량 3.5톤 이하 화물밴) 생산을 중단한다. 미국 캘리포니아도 2035년엔 디젤 경상용차, 2045년엔 디젤 중대형상용차 생산을 차례대로 중지하겠다고 밝으며, 중국도 2035년부터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고 친환경 상용차만 판매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들 나라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유럽은 ‘유로6D’, 미국은 ‘EPA 배출 규정’, 중국은 ‘China 6A’를 적용하고 있는데 각국에선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인 ‘유로7’, ‘EPA 개정안’, ‘China 6B’를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 중국은 친환경 상용차 ‘의무 판매’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오는 2024년부터 완성차업체에 친환경 트럭 의무 판매제도를 적용해 자사가 판매하는 상용차의 5~9%를 실시한다. 이보다 훨씬 빠르게 지난 2018년부터 전기상용차 의무 판매제도를 추진한 중국은 전기상용차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수소상용차에도 의무 판매제도도 검토하고 있다.

대형 전기버스 충전모습
대형 전기버스 충전모습

충전인프라 구축, 모델 도입에 공공기금·보조금 등 지원
ZEVTC 회원국은 친환경상용차 인프라 구축을 위해 공공기금, 운영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구매보조금, 세금 감면, 운행보조금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유럽은 볼보트럭, 다임러트럭, 트라톤 그룹을 필두로 중대형 전기트럭 라인업을 확보했으며 세 그룹의 주도로 5억 유로 규모의 전기트럭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이에 EU 차원에선 부지 설정, 추가 참여업체 선정을 위한 공공기금 마련에 돌입했으며 각국별로는 세금 감면, 운행 보조금, 인프라 구축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주를 상용차 주요 거점으로 선정해 전기·수소상용차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전기·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공공기금, 운영보조금 등을 지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수소상용차 보조금을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수소상용차 구매 보조금과 운행 보조금을 법제화했는데 정부 차원에서 수소상용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상용차, 경소형은 ‘충전소 증설’·중대형은 ‘TCO 개선’ 필요
앞으로 남은 과제로 경소형 상용차 충전소 확충 및 중대형 상용차의 총소유비용(TCO)를 개선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EVTC 보고서에선 미국, 유럽 경상용차 운전자들의 절반 이상이 전기 경상용차를 운용하기 까다롭다고 답했다. 부족한 충전소를 확충하기 위해선 2030년까지 연간 36% 규모로 충전소를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대형 친환경 상용차의 TCO도 개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유럽은 중대형 친환경 상용차에 구매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연료 보조금’,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 추가적인 혜택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도 추가적인 상용 충전소 건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소충전소의 경우, 설립 및 운영하는 비용이 비싸 충전소 건설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으며 수소상용차와 수소 연료가 비싸다는 점에서 TCO 개선도 필요한 것으로 언급됐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친환경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