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환경부- 평택시 등 관련 기관
평택시 수소모빌리티 특구조성 MOU 체결
트럭 250대, 버스 450대, 청소차 150대 보급
트럭, 평택항 투입...항만·물류용으로 활용

오는 2030년까지 국내 물류 거점인 평택시에 수소 상용차 850대가 보급된다. 이를 위해 현대차와 환경부, 평택시 등 정부-지자체-민간이 손을 잡았다.
현대차는 지난 24일 평택시 시립운동장에서 환경부, 경기도, 평택시, SK E&S, 한국가스기술공사, 현대글로비스와 ‘평택시 수소 모빌리티 특구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현대차 정원대 국내지원사업부장을 비롯해 한정애 환경부 장관, 엄진섭 경기도 환경국장, 정장선 평택시 시장, 홍기원 국회의원, 홍선의 시의장, 추형욱 SK E&S 사장, 조용돈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 김현중 현대글로비스 물류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국내 수소 모빌리티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오는 2030년까지 평택시에 수소트럭과 버스를 누적 850대 도입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구체적으로 수소트럭은 2030년까지 총 250대가 보급된다. 내년 완공되는 평택항 수소교통복합기지에 투입돼 항만용 트랙터와 물류 운송용 트럭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수소버스는 2030년까지 총 450대가 보급된다. 고덕 신도시에 구축 예정인 고덕수소스테이션에 산업단지 출퇴근용으로 200대가, 월곡, 지제역, 안중 등 버스차고지에 시내버스 및 광역버스로 250대가 보급된다.
수소 청소차는 2030년까지 고석수소스테이션에 150대 보급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수소트럭과 버스 신 모델을 개발해 공급하며, 정부와 지자체는 행정·재정적 지원을 비롯해 수소 상용차 활성화를 위한 개발과 실증 사업 등을 돕는다. SK E&S와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주요 교통 거점에 수소 충전소를 구축해 충전 인프라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현대차와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12월 평택항에서 현대·기아차 생산 공장(광명·화성 등)을 오가는 노선을 대상으로 세계 최초 수소 차량운반차(카캐리어)의 시범운행을 추진한다. 차량 성능과 편의성, 경제성을 검증해 상용화 가능성을 점친다.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 모빌리티 특구 평택시에 선제적으로 수소 상용차를 확대 보급해 국내 수소 생태계 조성에 기반을 다질 것”이라며 “다양한 부문과 협력을 통해 전국적으로 수소차를 공급함으로써 탄소 중립과 수소 경제 확산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DB브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