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트럭 시장 진출한 중소업체 급증하자
배터리 충전 불량·부실 A/S 논란도 커져
정부 구매보조금으로 차량 구매에 앞서
차량 품질·판매사 A/S 여건 등 확인 필요

일부 소형 전기트럭을 중심으로 단차나 경고등 에러와 같은 비교적 가벼운 고장부터 누수, 배터리 충전 문제 등 안전사고와 직결된 고장으로 이용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일부 소형 전기트럭을 중심으로 단차나 경고등 에러와 같은 비교적 가벼운 고장부터 누수, 배터리 충전 문제 등 안전사고와 직결된 고장으로 이용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소형 전기트럭을 구매한 A씨는 지난해 말 고속도로에서 아찔한 일을 겪었다. 잘 달리던 차량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더니 급기야 배터리가 방전된 것. 미리 갓길에 정차하지 않았다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A씨는 “환경부 인증을 받은 친환경차라고 해서 보조금까지 받고 구매했는데 출고 일주일도 안 돼 갑자기 멈춰 설 거라곤 생각도 못했다.”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구매보조금 대상 전기트럭 전년 대비 두 배 늘어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기조에 맞춰 전기상용차 시장에 진출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차량 품질 및 사후관리 능력이 도마 위에 올랐다. 업계에 따르면 단차나 경고등 에러와 같은 비교적 가벼운 고장부터 누수, 배터리 충전 문제 등 안전사고와 직결된 고장이 일부 소형 전기트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들 차량 모두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대상이라 차주들의 혼란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2년 2월 기준 환경부의 구매보조금 대상 전기트럭(초소형~소형)은 13개사 26종으로, 지난해 2월(9개사 13종)보다 4개사 13종이 늘었다. 정부가 매년 전기트럭 보조금 예산을 늘리고, 공공기관과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를 시행하자 시장이 급격히 커진 모양새다.

문제는 이들 업체 대부분 차량 제조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원래부터 차를 만들어 팔던 곳은 대기업 등 소수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중국산 전기트럭을 들여와 배터리 등 일부 부품만 국내에서 조립해 판매한다.

끊이지 않는 품질과 사후 서비스 논란

상황이 이렇다보니 차량 품질과 사후관리 논란이 끊이질 않는다. 한 중소업체의 소형 전기밴을 구매한 차주들은 최근 손해배상 청구를 준비 중이다. 차량 고장이 잦은 데다 A/S 대응이 부실해 업무에 중대한 차질을 입었다는 이유에서다. 

한 차주는 “누수나 소음, 문 개폐 불량부터 배터리 방전 및 충전 불량, 운전대와 브레이크 오작동이 빈번하다.”며 “수리를 맡겨도 ‘부품이 없어 언제 고칠 수 있을지 모른다’는 답변만 내놓는 탓에 한 달 넘게 일을 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이에 해당 업체 관계자는 “고장의 대부분은 중대한 구조적 결함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 가능한 문제”라며 “부실한 A/S 대응은 인력을 충원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결국 중국산 섀시에 국산 배터리를 얹는 과정에서 부품간 호환 문제와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생했다는 얘기인데, 올해 비슷한 방식으로 제작되는 전기트럭이 국내 시장에 대거 출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기트럭 품질에 대한 정부 차원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 인증 절차로는 ‘품질 미달’ 전기트럭을 완전히 걸러내기 어렵다. 국토부 안전인증 및 환경부 환경인증, 자동차안전도평가 기준이 여전히 내연기관차를 중심으로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잘 달리다가 방전되는 전기화물차’에 친환경차 보조금이 배정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더욱이 사후관리 능력에 대한 평가 기준이 따로 없어 중소업체의 부실한 A/S를 소비자가 고스란히 감내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김필수 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은 “최근 소형 전기모빌리티가 국내 시장에 빠르게 보급되고 있지만 각종 인증 기준은 내연기관차에 머물러 있다.”며 “전기차 특성에 맞는 안전기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현재로선 소비자가 주의하는 것만이 전기트럭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막는 유일한 방법이다. 물론 오는 4월 종료되는 영업용 번호판 신규 허가 혜택이나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제때 받으려면 가능한 빨리 출고되는 차량을 구매하는 편이 낫다. 그러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차량 구매에 앞서 품질과 A/S 여건을 한 번 더 따져보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전기트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