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1대당 보조금 줄여 보급물량 확대
전기화물차 대당 최대 1,400만 원
대형전기버스 대당 최대 7,000만 원
수소 광역버스 및 청소트럭 보조금 신설

올해부턴 새로 출시되는 수소 광역버스와 수소 청소차에 각각 2억 원, 7억 2,000만 원이 지급된다.

올해 친환경 상용차 보급 계획이 나왔다. 지난해와 비교해 차량 한 대당 보조금은 줄고 전체 보급물량은 증가한다. 전기화물차와 대형 전기버스에 지급되는 보조금은 각각 최대 1,400만 원, 7,0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다.

환경부가 26일 오전 오송컨벤션센터에서 ‘2022년 무공해차 보급정책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이날 설명회에선 ‘2022년 전기차 및 수소차 보조급 지급지침’을 비롯해 무공해차 보급 방향 및 보조금 제도, 충전시설 구축계획 등을 발표한다. 지난해까지 국내에 보급된 무공해차(승·상용 포함) 누적 대수는 약 26만 대로, 환경부는 올해에만 24만 여대를 공급해 누적 대수 50만 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무공해차 보급 대수를 늘리기 위해 보조금 체계가 개편된다. 상용차의 경우 대당 보조금이 줄고 보급 물량이 증가한다. 올해 전기화물차 보급 물량은 지난해보다 64% 증가한 4만 1,000대이며, 전기버스는 두 배 증가한 2,000대, 수소화물차 10대, 수소버스 340대로 편성된다.

올해 1톤 전기트럭 보조금은 최대 1,4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며 차량 성능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올해 1톤 전기트럭 보조금은 최대 1,4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며 차량 성능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1톤급 전기화물차의 경우 지난해 대당 1,600만 원을 일괄 지급했으나 올해는 성능에 따라 최대 1,400만 원까지 차등 지급한다. 또 올해부터 소상공인과 차상위 이하 계층 고객에겐 국비 보조금액의 10%를 추가로 지원하며, 법인과 기관 물량은 전체 20%를 별도 배정·집행한다. 초소형 전기화물차의 경우 보조금은 기존과 동일하며, 영업용 차량으로 구매할 시 보조금 50만 원이 추가로 지원된다.

전기버스의 경우 지난해보다 보조금 상한이 1,000만 원 감소해 대형과 중형에 각각 7,000만 원, 5,000만 원을 지급한다. 또 어린이 통학차량용으로 구매할 시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국비 500만 원을 추가 지급한다.

수소트럭의 경우 지난해와 동일하게 대당 2억 5,000만 원, 저상 수소버스에는 대당 1억 5,000만 원을 지원하며, 올해 출시되는 수소 광역버스와 수소 청소트럭에는 각각 대당 2억 원, 7억 2,000만 원을 정액 지급한다.

아울러 무공해 상용차의 원활한 보급을 위해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힘쓴다. 전기충전기는 단독 주택, 도·농지역 등 충전 접근성이 낮은 생활권에 집중 설치하며, 대형 수소상용차의 보급을 고려해 대용량 수소충전소 공모를 진행, 액화수소 충전소 부지도 신규 선정할 계획이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환경부는 2022년을 무공해차 대중화 원년으로 만든다는 목표 아래 시장 상황에 적극 대응하여 보급정책을 더욱 정교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