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계연구원, 서울버스, 카이스트 등 '맞손'
액체수소버스 실증 및 충전소 개발 MOU 체결

17일 액체수소 기반 시내버스 및 충전 인프라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17일 액체수소 기반 시내버스 및 충전 인프라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국내 최초 액체수소 시내버스의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는 한국기계연구원과 서울버스㈜, 카이스트, ㈜제이엔이웍스, ㈜래티스테크놀로지가 액체수소 연료전지 버스의 실증과 이를 위한 액체수소 충전소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에 17일 서명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운행 중인 수소연료전지 차량은 모두 기체수소를 이용한다. 기체수소에 비해 부피가 1/800에 불과한 액체수소는 대규모 저장ㆍ수송ㆍ활용에 유리해 수소경제의 필수 기술로 꼽히나,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다. 이번 협약에 참가한 기관들은 액체수소 기술을 시내버스에 적용, 주행거리와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동시에 액체수소 대중교통 시대를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한국기계연구원이 액체수소 기반 연료전지 버스와 충전소 시스템을 설계하고 핵심 기자재를 개발한다. 현재 한국기계연구원은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상용급액체수소플랜트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하여 일 생산량 0.5톤의 수소 액화플랜트를 개발 중이다. 액체수소의 공급은 카이스트가 맡는다.

공급된 액체수소는 ㈜래티스테크놀로지가 상용화한 ‘격자형압력탱크’에 저장된다. 이 압력탱크는 세계 최초의 자유형상 압력탱크로, 버스와 충전소 규격에 따라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공간맞춤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제이엔이웍스가 담당한다. 버스의 전력 및 냉난방 부하를 분석하여, 노선 뿐 아니라 계절에 따른 액체수소버스의 최적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시한다. 서울버스㈜는 연료전지 공급 및 전력공급시스템 설계와 차량 시스템 통합, 설치를 수행한다. 액체수소버스의 실증과 운영도 담당할 예정이다.

액체수소를 공급하는 카이스트는 이외에도 시스템 모델링과 장기적인 기술 발전 및 비용 변화를 고려한 기술적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여 이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약 200대의 시내버스와 공항버스를 운행 중인 서울버스㈜의 조준서 대표는 “대중교통의 탈탄소화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 액체수소버스는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다.”라며 “서울 지역에 있는 5,000여 대의 도시 버스 및 공항 버스를 보유 중인 시내버스 업체들이 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을 시작으로 향후 액체수소를 기반으로 달리는 대형 트럭이 개발될 수 있다.”며 “그럴 경우 1회 충전 주행거리가 대폭 개선되는 것은 물론, 수소충전소의 저장 용량도 증가해 수소트럭의 상용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수소버스 #액체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