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분석] ‘보조금’으로 키우는 친환경 상용차 시장
친환경 상용차 구매보조금 2배 넘게 뛰어
수소트럭·LNG믹서트럭 보조사업도 신설
DPF 등 배출가스저감사업 자기부담금↓
교통약자 저상버스 보급률 42% 증대 목표


국내 상용차 시장에 투입되는 국고보조사업 규모가 올해 처음 1조 원을 돌파했다. 환경 및 대기질 개선 사업의 일환인 전기트럭 및 전기버스 등 친환경 상용차 구매보조금과 노후화물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규모가 크게 오른 결과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의 예산 계획에 따르면, 올해 상용차 시장에 투입되는 국고보조금은 지난해 본 예산(추경 제외)인 8,700억 원보다 약 40% 증가한 1조 2,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부의 예산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올해 환경부가 편성한 상용차 국고보조사업은 총 1조 1,557억 원으로 지난해(8,102억 원)보다 42% 수준 증액됐다. 이중 전기트럭 구매보조금을 포함하는 친환경 상용차 구매보조 사업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전체 사업비 상승을 이끌었다.
국토부가 진행하는 교통안전 관련 사업도 738억 원이 배정되며 전년(660억 원) 대비 11.8% 올랐다.

전기트럭·전기버스 구매 보조금 올해도 대폭 증액
친환경 상용차 구매보조사업은 정부의 강력한 무공해차 보급 의지에 힘입어 매년 규모를 키우고 있다. 지난해에도 전기버스와 전기트럭 보조금 예산이 각각 216%, 606% 증가했다. 폭발적인 증가세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졌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친환경 상용차 구매보조금은 5,181억 원으로 전년(2,153억 원) 대비 140.6% 상승했다. 상용차 관련 국고보조사업을 통틀어 가장 가파른 상승세다.
특히 전기트럭 보조금이 크게 늘었다. 1톤 전기트럭은 지난해 두 차례 추가 예산을 편성 받아 총 1만 4,000여 대가 팔린 바 있다. 인기를 반영하듯 환경부는 지난해보다 약 2.7배 증액한 4,000억 원을 투입해 올해 2만 5,000대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1톤 전기트럭의 한 해 최대 생산량으로, 전기트럭을 구매하는 모든 차주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다만, 차량 한 대에 주어지는 보조금은 1,800만 원에서 1,600만 원으로 200만 원 가량 줄었다. 반면에 초소형 전기트럭 보조금은 512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올랐다.
전기버스 구매보조금도 지난해보다 규모는 늘어나고 상한은 낮아졌다. 환경부는 지난해보다 150억 원 증가한 약 800억 원을 투입해 전기버스 1,00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줄어든 전기버스 판매원가를 고려해 대당 최대 보조금은 1억 원에서 8,000만 원으로 낮췄고, 최소자기부담금을 설정해 국산과 중국산 모델이 비슷한 가격에 팔리도록 했다.
보급이 미진했던 차종은 올해 동일한 규모로 다시 진행된다. 코로나19로 지난해 절반 이상 삭감됐던 수소버스 보조사업은 다시 270억 원 규모로 시행되고, 2층 전기버스 사업도 지난해 예산을 이어받아 62억 원을 투입해 40대를 지원한다.
신설된 사업도 있다. 수소트럭과 LNG트럭 구매보조 사업은 올해 처음 시행된다. 수소트럭의 경우 대당 2억 원씩 5대를 지원하며, 액화천연가스(LNG) 콘크리트믹서트럭은 대당 2,000만 원씩 총 20대를 지원하기로 했다.

자기부담금 줄인 배출가스 저감 사업
노후상용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규모는 지난해(5,949억 원)보다 소폭 증가한 6,376억 원으로 편성됐다.
노후 경유상용차 조기폐차 지원에는 총 3,264억 원이 배정됐다. 지난해보다 13%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와 동일하게 대당 최대 3,000만 원이 지원되며, 소형 노후화물차의 경우 보조금 상한이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올랐다.
소형 경유 상용차를 겨냥한 LPG차 전환사업도 규모를 크게 늘렸다. LPG 트럭 신차 구입 보조사업에는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난 400억 원이, 어린이 통학차량 LPG차 전환사업에는 40% 증가한 210억 원이 투입돼 소형 LPG 상용차 총 2만 6,000대가 보급될 전망이다.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사업과 노후엔진 교체 사업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낮아졌다. DPF와 엔진 제조원가 산정방식을 개선한 덕이다. 환경부는 노후경유차 및 건설기계 총 47만 대에 폐차 또는 저공해조치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저상버스 지원 규모 증가
국토부가 진행하는 상용차 관련 국고보조사업은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변하지 않았다. 대부분 사업이 전년과 동일한 예산을 배정 받은 가운데 저상버스 구매보조금 규모만 소폭 상승했다.
교통약자 편의성을 위해 시행되는 저상버스 구매보조 사업엔 올해 730여 대에 해당하는 660억 원이 투입된다. 지난해(577억 원)보다 14.4% 상승했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전체 시내버스의 42%를 저상버스로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산하 기관인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올해 총 96억 원을 들여 2층 전기버스 4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이월된 48억 원이 포함된 금액이다. 대당 2억 4,000만 원이 지급된다.
이외에 ‘사업용 대형버스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장착 보조사업’이 지난해와 동일한 규모로 시행되며, 무시동 히터 및 에어컨 설치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녹색물류전환사업’ 규모는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상용차 시장에 투입되는 국고보조금 예산이 친환경 상용차를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다.”며 “올해 처음 지원되는 차종이 얼마나 보급될지 눈여겨 봐야한다”고 했다.

지난해 전기트럭과 전기버스는 국고보조금에 힘입어 당초 계획을 뛰어넘는 보급대수를 기록했다.
정부는 지난 2020년을 친환경 상용차 보급 원년의 해로 지정하며 구매보조금 규모를 크게 늘렸다. 경소형 전기트럭에는 지난 2019년 대비 6배 증가한 1,092억 원이, 시내 전기버스에는 전년도 대비 2배 늘어난 650억 원이 투입됐다. 전기트럭의 경우 수요가 급증하면서 총 1,170억 원을 추가로 편성하기도 했다.
국고보조금이 늘자 전기상용차 보급대수가 크게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차량 등록원부를 가공, 본지에 독점 제공하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경소형 전기트럭 신규등록대수는 총 1만 4,274대로 집계됐다. 현대차 포터2 일렉트릭과 기아 봉고3 EV가 각각 8,993대, 5,149대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경형 미만 전기트럭은 132대 판매됐다.
시내 전기버스는 당초 보급계획인 650대보다 176대 더 팔렸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전장 9m 이상 대형 전기버스는 총 826대 신규등록됐다. 코로나19 사태로 버스 시장이 위축됐지만 전기버스는 보조금 혜택에 힘입어 수를 크게 늘렸다.
올해도 국고보조금 규모가 증가하면서 전기상용차의 인기가 유지될 전망이다. 정부는 한해 최대생산량에 달하는 전기트럭 2만 5,000대 모두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시내 전기버스에도 1,000대 분량의 보조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