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중형 이상 트럭 + 트랙터 + 덤프 판매 실적
작년 1~11월 2만 8천여 대…전년比 23.5%↑
메가 단종된 중형 제외 전 차급 판매량 회복
준대형트럭의 경우 전년비 두 배 넘게 올라
반도체 수급난 없었다면 실적 더 높았을 것

지난해 1~11월 국내 트럭 판매량은 총 2만 8,377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5% 증가했다.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는 가운데서도 양호한 성적을 거둔 모습이다.
지난해 1~11월 국내 트럭 판매량은 총 2만 8,377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5% 증가했다.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는 가운데서도 양호한 성적을 거둔 모습이다.

다사다난했던 2021년이 지나갔다. 지난해 국내 트럭시장은 롤러코스터를 타듯 상승과 하강을 반복했다. 그간 억눌려 있던 트럭 수요가 폭발하며 신차 판매량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는가 하면 부품 수급난과 원자재 값 인상으로 전례 없는 생산 차질을 겪기도 했다. 신차 시장의 부침은 중고트럭과 영업용번호판 시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국내 트럭 시장을 ①신차 ②중고차 ③영업용 번호판으로 나누어 살펴봤다.

2021년 국내 트럭 신차시장이 양호한 성적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에도 화물운송시장의 수요 증가와 준대형트럭의 성장세 등에 힘입어 전년도 대비 20% 이상 판매량이 늘었다.

국토부의 차량 등록원부를 가공, 본지에 독점 제공하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동안 판매(신규등록 기준)된 준중형 이상 트럭(적재중량 2톤 이상 카고+특장차, 트랙터, 25.5톤 이상 덤프트럭)은 총 2만 8,377대로 전년 동기(2만 2,976대) 대비 2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부족 문제가 없었다면 상승세는 더 높았을 수도 있다. 지난해 상반기(1~6월) 준중형 이상 트럭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8.8% 증가하며 역대급 실적을 거뒀지만 하반기 들어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차량 생산 차질 문제로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증가세가 23.5%(1~11월)로 둔화했다.

차급별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준중형트럭(1만 1,102대)을 선두로 준대형트럭(5,187대), 중형트럭(4,367대), 대형트럭(3,928대), 트랙터(2,414대), 대형덤프(1,379대)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 트랙터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던 준대형트럭은 지난해 처음 중형 및 대형트럭을 제치고 국내 트럭 시장 선두권으로 올라섰다.

* 상세한 수치는 트럭스앤파츠 45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상세한 수치는 트럭스앤파츠 45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5톤급 준중형트럭≫ 
신차 등장에 성장률 40% 육박

신차 효과와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판매 대수 1만 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1~11월 적재중량 2~5톤 준중형트럭의 판매량은 1만 1,102대로 전년 동기(8,076대) 대비 37.5% 증가했다.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택배 및 물동량 증가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늘었다. 여기에 타타대우의 신형 모델인 더 쎈의 등장이 현대차 마이티 독주 체제였던 시장 규모를 키우는 효과를 가져왔다.

5톤급 중형트럭≫ 
한 때 ‘만능트럭’이었지만…30% 감소

중형트럭 시장은 현대차 메가트럭의 단종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해 1~11월 적재중량 4.5~7톤 중형트럭은 4,367대 판매되며 전년 동기(6,298대) 대비 30.7% 감소했다. 국내 트럭 시장 중 유일한 하락세다. 기존 중형트럭 시장의 70~80%를 차지하던 메가트럭의 단종 여파가 컸다. 수입산 실적까지 감소한 것으로 보아 중형트럭 수요가 인접 차급으로 이동하는 모양새다.

8톤급 준대형카고≫ 
2배 이상 성장…중형·대형트럭 제쳤다

준대형트럭 시장이 국내 중대형트럭 시장의 핵심 무대로 급부상했다. 지난해 처음 중형트럭과 대형트럭 시장의 판매량을 제쳤다.

지난해 1~11월 적재중량 8~16톤 준대형트럭은 5,187대 판매되며 전년 동기(2,296대) 대비 125.9% 뛰었다. 국·수입산 가릴 것 없이 인기를 끌었지만 폭발적인 성장세의 가장 큰 요인은 현대차 파비스의 존재다. 현대차는 메가트럭의 후속모델로 파비스를 내세웠고, 이를 통해 중형트럭 시장 수요를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 실제로 국산 모델은 전년 동기 대비 144.9% 증가했다. 

9.5~25톤 대형카고≫ 
반도체 수급난에 다소 주춤

반도체 수급난의 여파를 직격으로 맞은 대형트럭 시장은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1~11월 적재중량 9.5~25톤 대형트럭의 판매량은 3,928대로 전년 같은 기간(3,414대)보다 15.1% 증가했다. 가성비가 높은 국산 모델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른 차급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낮은데, 첨단안전사양이 더 많이 탑재되는 탓에 다른 차급보다 필요한 반도체 개수가 많아 반도체 수급난의 여파를 정통으로 맞았다는 분석이다.

트랙터≫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호조세

트랙터 시장은 늘어난 수출입 물동량과 안전운임제 효과로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지난해 1~11월 트랙터 판매량은 2,414대로 전년 동기(1,999대) 대비 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물동량이 급증한 덕에 꾸준히 수요가 있었다. 수출입 컨테이너와 벌크시멘트 트레일러 품목에 최저운임을 보장하는 안전운임제도 트랙터 실적 상승을 거들었다. 

25.5톤 이상 대형 덤프≫ 
건설경기 회복에 오랜만에 ‘껑충’

수년간 침체기를 겪은 대형덤프 시장이 다시 살아났다.

지난해 1~11월 적재중량 25.5톤 이상 덤프트럭(구동축 기준, 8×4)은 1,379대 판매되며 전년 같은 기간(893대) 대비 54.4% 증가했다. 준대형트럭 시장 다음으로 상승 폭이 크다. 코로나19 이후 시행된 대규모 경기 부양책 효과로 건설경기가 회복한 덕이다. 수입 브랜드의 연이은 신차 출시도 호조로 작용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트럭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