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덤프·믹서 등록 134대…전월比 67% 급감
국토부, 8월부터 ‘수출, 도난, 폐차’ 조건 달아
영업용 번호판 엄격 규제…사지도 팔지도 못해
덤프 영업용 번호판 웃돈 두 달 새 2배나 ‘껑충’

덤프트럭(15톤 및 25.5톤 이상 대형급)과 믹서트럭(6m3) 수요가 지난 8월 이후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곤두박질. 말 그대로 건설용 트럭 시장을 이끌고 있는 덤프트럭(15톤 및 25.5톤 이상 대형급)과 믹서트럭(6㎥) 수요가 8월 들어 급락했다. 9월 이후에도 비슷한 분위기다. 지난 2016년 공급이 달릴 정도로 사상 최대 호황을 누렸던 덤프트럭은 지난해부터 시장 수요가 꺾이기는 했으나, 올들어 7월까지 월평균 230대 수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8월 들어서 덤프트럭이 82대로 급락했다. 건설용 트럭의 양대 축인 믹서트럭 역시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다. 갑자기, 왜?

덤프트럭과 믹서트럭이 최대 호황을 누리던 2016년에 “시장이 미쳤다”라고 할 정도로 수요가 급증했었다. 연평균 수요가 3,000대에서 6,000대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지난 8월의 경우도 “시장이 미쳤다”라는 표현이 나오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2016년 당시는 ‘시장 자율’에 의해, 이번에는 ‘정부 요인’이란 점에서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 덤프 월평균 230대가 82대로
국토교통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덤프트럭과 믹서트럭을 합한 신규등록대수는 총 134대로 집계됐다.

올들어 1월부터 7월까지 월평균 421대가 신규등록된 것과 비교했을 때,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중 덤프트럭은 82대로 월평균 230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 믹서트럭도 52대로 월평균 191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특히, 덤프트럭과 믹서트럭 모두 전월과 비교했을 때 각각 67.9%, 65.7% 하락하며, 한 달 만에 시장수요가 급감했다.

■ 정부 수급조절에 시장수요 급랭
상용차정보 자체조사에 따르면 8월 들어 수요가 급감한 주원인은 정부가 개입한 ‘외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무 부처인 국토부가 ‘2018년 건설기계 수급조절 업무처리요령’과 관련, 8월 1일부터 덤프트럭 및 믹서트럭, 그리고 콘크리트펌프카 3종에 대해, 등록업무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 요령에 따라, 지난 8월부터 건설기계로 분류되고 있는 덤프트럭과 믹서트럭은 ‘교체 신차등록’ 또는 등록변경 신청 시 수출, 도난, 폐차 등으로 인한 건설기계 말소확인서를 첨부하도록 했다.

쉽게 말해 그동안은 차량과 번호판을 따로따로 판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8월부터는 자가용으로 뽑은 신규 차량을 영업용으로 전환하려면, 기존 영업용 번호판 차량을 폐차나 수출 등으로 말소해야만 번호판을 달 수 있도록 규정이 엄격해진 것이다.

이로 인해 ‘수출과 폐차 조건’이 따라붙은 영업용 번호판이 귀해지면서 ‘몸값’이 크게 오르고, 말소조건에 맞는 차량자체를 구하기가 어려워졌다.

실제, 덤프트럭 번호판 가격은 두 달 새 2배 이상 폭등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덤프트럭시장 신규 진입을 위해, 번호판을 새로 구입하려면 2억원 대의 차량 가격에다가 두 배가량 뛴 번호판 웃돈(프리미엄)을 줄 각오를 해야 한다. 그마저도 여러 까다로운 조건으로 인해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기존 덤프트럭 번호판 가격이 1,000만원 정도였다면 현재는 1,8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거래되는 실정”이라며, “그동안 덤프트럭이 시장에 너무 많이 풀려, 수급조절해 나가려는 정부의 의지인 것 같다.”고 진단하고, 차량을 새로 사기도 팔기도 어렵게 만들고, 시장경제논리를 왜곡시킨 ‘독소 내용’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8월부터 번호판 공급이 어려워지고, 자연스레 시장수요가 크게 위축됐다는 게 건설용 트럭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번호판을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수출이나 폐차된 차량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구매 자체가 힘들어졌다.”며, “중고차 시장도 번호판과 묶여있어 제대로 시세가 잡히지 않는 상태”라며, 현재의 위축된 시장 상황을 설명했다.

■ 또다른 부작용, ‘시장위축’
그렇다면 시장수요 위축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업계에서는 일단 정부의 신규 수급조절 지침이 발표되는 내년 상반기까지 바라보고 있지만 이마저도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2016년 건설용 트럭 최대 호황 이후 수급조절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계속해서 힘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업계 일각에선 건설용 트럭의 유례없는 호황 뒤 나타난 부작용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부작용의 직접 당사자로 건설용 트럭을 신규로 운행하고자 하는 예비차주를 비롯 중고매매업체, 트럭 판매업체 등이 지목되고 있다.

반면, 기존 차주 및 건설운송업자들 입장에서는 번호판 가격이 뛰고, 경쟁 대상자들의 신규 진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덤프트럭과 믹서트럭 수요가 급감한 데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판매호황 뒤 나타난 부작용”인 것 같다고 진단하고 “정부의 수급조절로 인해 번호판 가격이 높아지고, 영업용 차량을 굴릴 수 없다면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운행하는 편법영업이 기승을 부리지 않겠냐.”며 또 다른 부작용 가능성을 예고했다.

 

출처: 국토교통부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