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오사카 간 도로에 도입 목표
선두 차량 외에는 전부 무인트럭
인력난 해소, 물류비용 절감 기대
안전성, 사고 책임소재는 해결과제

일본 정부가 무인 트럭 군집주행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사진은 일본 정부가 세계 최초로 시행한 CACC 군집주행 테스트 모습. 각기 다른 메이커의 차량들이 군집주행을 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2022년까지 도쿄-오사카 간 도로에서 트럭 군집주행 실용화를 추진한다.

일본 경제 매체 도요게이자이(東洋經濟)에 따르면 일본 당국은 2020년까지 고속도로 트럭 군집주행 기술을 테스트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도입에 나설 예정이다.

도입을 검토 중인 군집주행 기술은 운전자가 탑승한 선두 차량과 이를 뒤따르는 자율주행 형태의 후속 차량들이 잇달아 주행하는 형태다. 운전자는 선두 차량을 조작하는 한 명뿐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선두 차량과 후속 차량 모두 운전자가 탑승한 채로 실험이 이뤄지고 있는 단계다. 최근 신토메이 고속도로에서 진행된 실증 실험도 이 같은 형태로 진행됐다. 적재량 25톤급 대형 트럭 3대가 대열을 이뤄 약 75km/h 속도로 주행했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세계 최초로 서로 다른 메이커의 트럭을 이용해 군집주행을 하는 데 성공했다. 실험에 참가한 트럭들은 ‘협조형 차간거리 유지 지원시스템(Cooperative Adaptive Cruise Control)’을 활용해 35m 간격을 유지한 채 주행했다.

이 시스템은 히노자동차, 이스즈자동차, 미쓰비시후소트럭, UD트럭 등 일본 대표 트럭업체 4개사가 공동 개발한 기술로 후방 차량이 선두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수신해 원활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당국은 이 같은 트럭 군집주행의 상용화가 일손 부족 문제 해결과 물류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좁은 차간 거리로 주행하는 만큼 공기저항, 배기가스 배출량이 줄어들어 물류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수차례 테스트를 통해 검증됐다는 평가다.

일본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최근 물류산업은 장시간 노동에도 불구하고 월급이 적다는 이미지가 강해 새로운 인재가 충분히 영입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력 부족 문제와 함께 고령화 문제도 심화되고 있어 군집주행 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무인화 된 트럭 군집주행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가장 낮은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인 ‘피해 경감 브레이크’를 탑재한 차량조차도 오작동을 일으키고 있는데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대형 트럭의 안전성은 더욱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사고 시 책임 소재가 선두 차량 운전자에게만 쏠리는 형평성 문제도 거론된다.

사이토 아키라 전일본트럭협회 홍보실장은 “트럭 군집주행은 인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곤 있지만, 전자적인 연결 안정성이 정말 괜찮은지는 의문”이라며, “안전보다 인력 감축과 연비 개선이 우선시돼서는 안 된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자료 참고: 한국교통연구원)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