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기버스 국산 1,139대, 중국산 1,239대 판매
중국산 판매 점유율 2021년 33%→2023년 52%로 역전
국산보다 싼 찻값과 국고보조금으로 중국산 선택 많아
국토부, 안전 보장 위한 ‘배터리 안정성 인증’ 제도 강화

현대차 '일렉시티' 전기버스와 중국산 전기버스.
현대차 '일렉시티' 전기버스와 중국산 전기버스.

국내 대형 전기버스 시장에서 국산과 중국산의 대결구도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지난해부터 중국산의 독과점을 막고 국산 버스의 입지를 굳건히 하기 위해 배터리 에너지밀도에 따른 구매보조금 차등 지급 등 새 규제를 시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중국산 중대형 전기버스는 총 1,239대(52.1%) 판매(신차 신규등록 기준)되며 처음으로 국산(1,139대, 48.9%) 판매량을 추월하면서 점유율 절반 이상을 가져갔다. 

한편, 지난해 말 국회 국토교통위 전체회의에서 친환경(전기·수소) 버스의 운행 연한을 16년까지 연장한다는 내용을 담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법률안이 통과되며, 전기버스 배터리 관련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한층 높아졌다.

국산보다 저렴한 차량가액…판매량 견인 한몫
정부의 친환경 버스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운수사에서는 지난해 기준 차량가액이 높은 국산 전기버스 대신, 보다 저렴한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선택 비중이 늘어난 모습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중국산 전기버스 브랜드가 국내 시장에 중형급 모델들을 출시하면서 전기버스 차급의 다양화를 꾀하고 있으며, 동시에 국산 모델과의 가격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산 대형 전기버스의 경우, 과거에 비해 국산 모델과 평준화된 성능도 판매량 상승에 일조했다. 대표적으로 전장 11m급 국산 대형 전기버스인 현대차 ‘일렉시티’는 290kWh급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 시 420km를 주행할 수 있다. 차량가액 평균가 3억 6,000만 원을 웃돈다. 여기에 정부 보조금 최대 7,000만 원을 지원받아 2억 원 후반대에 구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383kWh급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장착해 한 번에 503km를 달릴 수 있는 중국산 전기버스 비야디(BYD)의 ‘eBus-12’의 평균 차량가액은 3억 원대로 형성됐다. 여기에 국고보조금 4,990만 원을 더하면 2억 원 중반 가격에 구입 가능해 국산 전기버스보다 저렴한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다.

노후된 중국산 전기버스 배터리 문제 대비 필요
전기버스 시장에서의 국산과 중국산 간 점유율이 크게 변동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는 노후화된 전기버스의 배터리 교체와 크고 작은 중국산 전기버스의 안전 결함이 추후 판매량 증감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일일 운행 시간 및 주행거리가 긴 전기버스의 특성상 다른 전기차종에 비해 배터리 노후가 빠르게 진행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즈음부터 운행이 시작된 전기버스는 앞으로 3년 안에 사용 연한(친환경 버스 9년, 시내·전세버스 11년)이 도래하게 됨에 따라, 업계는 배터리 성능 저하에 따른 문제도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는 중국산 전기버스 제조사가 배터리 제조사로부터 배터리를 구매한 뒤 양산된 전기버스에 장착, 운수회사에 판매 공급하는 구조상 배터리 보증기간이 전기버스 사용 연한보다 먼저 만료될 수 있다. 

이미 일정 기간 이상 사용 후 배터리 관련 문제가 발생했다면, 그 원인이 노후화로 인한 품질 저하인지, 사용차 관리 소홀로 인한 문제인지 판별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에 자동차연구원은 구매보조금 지급 시 전기버스 주요 부품 무상 수리 보증항목 및 보증기간 요건을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수입산 전기버스 및 배터리 제조사의 사전적·사후적 품질보증 책임 이행 담보 방안 검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의 한 운수업체 관계자는 “작년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국고보조금을 줄여 국산 전기버스의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산 버스보다 중국산 버스의 차량가액이 더 저렴했다.  운수회사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많은 차량을 전동화 시켜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조금 더 저렴한 가격의 중국산 전기버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전했다.

중국 버스 제조사의 입김? 차령 16년까지 연장?
이런 상황 속에서, 매년 친환경 버스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그간 일률적으로 적용됐었던 친환경 버스의 차령(9년)에 변화를 줘야한다는 업계 목소리를 받아들여, 지난해 말 국회 국토교통위 전체회의에서 새로운 개정안이 통과됐다. 

개정된 법률안을 살펴보면, 친환경 버스가 자동차검사에서 안전성 요건을 충족시킬 경우 7년 범위까지 운행 연한을 연장해 총 16년간 운행할 수 있도록 했다.

그렇다면 늘어나는 전기버스 차령에 대한 정부 대책은 마련돼 있을까. 본지 취재결과 국토부는 우선 배터리안정성 강화를 위해 지난해 8월 ‘배터리 안정성 인증 제도’를 개정, 내년 2월부터 한층 더 강화된 규제가 적용 됨을 확인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배터리 안정성 인증’ 제도를 통해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버스의 핵심 장치들은 사전에 안정성을 인증받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새롭게 교체 및 장착되는 배터리도 인증을 받아야 하며, 식별번호 부여로 이력 관리를 강화하여 제도를 보완해 전기버스 안정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