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시대를 맞아 한중일 3국의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 움직임이 분주하다. 해외 수소충전소 모습.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3개국이 수소상용차 시대 맞이에 한창이다. 수소연료전지로 구동하는 트럭·버스를 테스트하는 것과 더불어 장기적인 로드맵까지 발표하고 나섰다. 

차량과 수소연료전지의 기술력, 차량 구입을 독려할만한 지원 정책, 수소연료의 가격경쟁력 등 수많은 요점이 있겠지만, 핵심은 충전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제 아무리 뛰어난 수소차를 개발하고, 정책이 좋다고 한들 충전소가 부족하다면 보급이 원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가장 적극적인 충전소 보급계획을 내놓은 곳은 중국이다. 중국은 지난해 ‘차이나 수소 이니셔티브’를 선언하며, 세계 최대의 수소차 시장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100기, 2025년까지 30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2030년엔 1,000기의 충전소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정부의 계획도 구체적이다. 일반 승용차보다 주행거리가 길고 사회적 효과가 큰 상용차 위주로 수소차 시장을 키운다는 구상이다.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엔 200여대의 수소버스를 운용할 계획이다.

일본도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을 ‘수소올림픽’으로 명명하고, 도쿄 전역에 수소버스 100대를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수소충전소 160기를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2025년 320기, 2030년 900기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나아가 트럭·버스 수소 등 상용차 부문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상용차의 경우 많은 양의 수소를 사용하므로 수소충전소의 채산성이 좋아지고, 장기적으로는 수소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은 두 국가와 조금 다른 노선을 택했다. 2022년까지 310기, 2030년까지 52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는 계획과 함께 ‘융복합 충전소’ 카드를 꺼내 들었다. 융복합 충전소는 기존 LPG ·CNG 충전소를 수소 충전까지 가능한 형태로 만든 충전시설이다.

정부는 수소충전소와 융복합 충전소를 포함해 2040년까지 1,200개소의 충전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민간과 협력해 공공부문 수소상용차 개발 및 부품 기술 개발 등에도 힘쓸 계획이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