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유 경유청소차 2,800대 중 절반이 1~5톤급

적재중량 1~5톤급이 1,300여 대, 46%로 절반 차지 5~10톤급 518대, 10톤급 338대 등 대체 수요 커

2025-11-19     정하용 기자
지난 9월 25일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진행된 전기 및 수소 기반 중대형 청소차 시연회의 모습. 

서울시의 무공해 청소차 전환은 전국 지자체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가 보유한 도로청소차와 수집운반차는 약 2,800대에 달한다.

청소차는 업무 특성상 포터 등 소형급보다는 마이티 등 준중형급 이상이 많다. 적재중량 기준으로 보면 1~5톤급이 1,300대(약 46%)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해 가장 수요가 많은 구간이다. 5~10톤급은 518대, 10톤급 이상은 338대 등이다.

문제는 수요가 가장 많은 1~5톤 구간의 전기청소차(무공해차) 선택지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적재중량 기준 2~5톤 구간에서 가장 많은 차량이 필요한데, 현재까지 개발이 완료된 이 구간 전기청소차는 타타대우의 ‘기쎈’이 사실상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예외 승인 남발 우려…“제도 취지 무색”
이에 따라 예외 승인이 너무 쉽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무공해차(전기·수소차)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환경공단이 예외 승인을 남발하면 결국 경유차 구매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의무구매 제도의 핵심은 1종 무공해차로 전환하는 것인데, 예외 승인으로 경유차까지 허용되면 제도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기차와 수소차 선택지가 적다는 이유만으로 환경공단이 경유차까지 예외 승인을 해준다면 제도가 오히려 역행해 자칫 친환경 정책이 과거로 회귀할 가능성까지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결국 전기차와 수소차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환경공단이 대부분 예외 승인을 해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대형 무공해 청소차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도 시행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