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환경부, '2025 수소모빌리티 보급 활성화 세미나' 개최

수소 상용차 보급 확대 위해 정부 지원 필요성 부각 ‘수소엔진’, 전동화 전환기의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인프라 마련 시급성 재조명

2025-06-26     박준희 기자
'2025 수소모빌리티 보급 활성화 세미나' 환경부 및 업계 관계자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소재 페럼타워에서 ‘2025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활성화 세미나’가 개최됐다. 환경부가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류필무 환경부 대기환경미래전력과장을 비롯하여,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 백미영 전주시 대중교통국 버스정책과장, 황춘화 타타대우모빌리티 부장, 이혜진 SK이노베이션 E&S 수소마케팅 팀장, 유덕근 HD현대인프라코어 팀장 및 운수사 관계자 등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이 날 정부는 수소 상용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충전 및 정비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지속적인 수요 발굴을 통해 무공해차의 대중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어진 2부에서는 ‘타타대우모빌리티'와 ‘HD현대인프라코어’가 '수소 엔진(H2-ICE)' 기술 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수소엔진 상용화 전략을 주제로 한 업계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전문가들은 "수소 내연기관이 상용차 부문에서 디젤 엔진을 대체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될 것"이라며 수소 상용차 보급 확대 전략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재근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 사무관은 오는 2030년까지 무공해 상용차의 대중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혜진 SK이노베이션 팀장은 연간 1,000톤에 달하는 수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용량 충전소를 추가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황춘화 타타대우모빌리티 부장은 수소충전소 운영비의 보조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적 뒷받침이 연구·논의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유덕근 HD현대인프라코어 팀장은 대형트럭이 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은 12톤급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환경미래전략과장은 빠른 수소버스 보급의 확대에 비해 수소 화물차는 수요 부족으로 보급 예산이 축소되었다는 상황을 지적했다.
패널로 참여한 업계 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