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자 마자 하락 길, 국내 수소트럭 시장...
가격·인프라·모델수, ‘구매 기피 조건’ 3박자

수소트럭 국내 첫 출시 후 6년간 신규 모델 ‘0’ 현재 보급 중인 수소트럭, ‘엑시언트 FCEV’ 뿐 대형 수소청소차는 골목길 청소하기엔 ‘부적합’ “비싼 가격·충전 인프라·모델 한정…누가 사나”

2025-01-21     유지영 기자
수소청소차(출처:부안군)

2022년 말, 정부는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상용차(트럭 및 버스), 즉 수소상용차 3만 대 보급 로드맵을 공개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소트럭(수소청소차 포함)의 보급량은 미미할 정도로 매우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가격 외에도 ▲한정된 모델과 구매 기피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됨에 따라,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관점에서 시리즈로 다뤄본다.

■ ‘수소트럭 = 엑시언트 FCEV’ 6년째 신모델 ‘0’
2020년 정부는 친환경 상용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처음 공식화했다.

해당 로드맵에 따르면 2021년부터 점진적으로 카고트럭형 수소트럭과 2층 전기버스, 5톤급 중형급 수소청소차 등을 출시하고, 2023년부터는 3.5톤 준중형 전기트럭과 23톤급 대형 수소트럭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즉 중대형급 전기상용차와 함께 수소트럭 모델의 다양화를 이루어나가겠다는 것이 정부와 업계의 구상이었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지금까지 수소트럭은 한 가지 모델로만 운용되고 있다. 여러 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수소트럭 모델이 나오지 않고 있는데다, 화물운송업계의 구매 기피마저 가져온 결과로 여겨진다. 이는 곧 정부와 업계가 그토록 외쳐대던 수소트럭 생태계 조성은 커녕 되레 급격한 쇠퇴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정부가 본격적으로 수소트럭 보급을 선언한 이후부터 현재(2024년 12월 13일 기준)까지 국내에서 보조금을 받아 보급되고 있는 수소트럭은 2020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엑시언트 FCEV’뿐이다. 

구동축 기준 4×2 및 6×4 특장용 섀시 캡과 6×4 윙바디로 운영되고 있는 엑시언트 수소트럭은 그 가격이 6억 1,000만~6억 6,600만 원으로 비싸다. 하지만 보급 활성화를 위해 국고보조금 2억 5,000만 원과 지자체보조금 2억 원을 더해 총 4억 5,000만 원이 보조되고 있다.

수소트럭의 실제 가격은 1억 6,000만~2억 1,600만 원으로 가격이 낮아지지만, 인프라 부족 등을 감안하면 구매자 입장에서는 구매 접근성이 떨어지는 높은 가격이다. 

결과적으로 수소트럭 구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모든 조건을 다 갖췄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는 정부 예산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정부의 수소트럭 및 수소청소차(특장용 수소트럭으로 제작)에 대한 보급 목표와 예산이 급격히 감축되고 있다.

2023년 220대에서 2024년 30대로 대폭 줄었고, 2025년에는 20대로 더 감축되는 정부 예산이 편성됐다. 이같은 감축 이유는 실제 보급 물량이 계획에 훨씬 못미치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도 20대 보급 목표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골목 청소하기엔 차가 너무 커” 볼멘소리 
한정된 모델로 인한 수소트럭 구매 기피는 특장용 수소청소차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환경부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사업에 선정되며 2대의 수소청소차를 운용하고 있는 김성원 부안군 미래산업팀장은 수소청소차를 도입하는 과정에서의 제도적 어려움과 골목길 운행에 적합하지 않은 대형급 수소트럭 보급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팀장은 “친환경차 구매 의무대상인 지자체는 정부지침에 따라 값비싼 수소청소차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데, 빠른 보급을 하고 싶지만, 예산을 확보하고 수소청소차를 도입하기까지 딱 2년이 소요됐다”고 밝히고 “그 이유로는 수소트럭을 청소차로 개조하는 기술을 가진 특장업체가 국내에 단 한 군데밖에 없다 보니, 조달청에서는 어떠한 비교 대상이 없다는 이유로 등록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수의 계약을 맺지 못하여 차량을 구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골목길을 운행하며 쓰레기를 수거하는 청소차에 맞지 않게 대형 트럭인 것도 문제로 꼽혔다.

실제 시골 농어촌 지역에서 운행되는 수소청소차는 거점 간 운행으로 큰 문제가 없지만, 골목이 많은 도심 같은 경우 차체가 너무 커 진입 자체가 어렵다. 이와 더불어 기존보다 2배 커진 청소차를 오르내리락 하는 것에 미화원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매년 오르는 수소충전비도 수소청소차 사용에 큰 부담 요인으로 지적됐다.  

김 팀장은 “최근에는 kg당 1만 원에 육박하며, 수소청소차 연료비가 내연기관에 비해 2배가량 지출되고 있어, 사실상 수소청소차의 연료 경제성은 ‘0’인 현실이다. 앞으로 현재 도로를 달리고 있는 청소차 1만 5,000대~2만 대가 수소청소차로 대차돼야 하는 만큼, 기술적 지원이나 공급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