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상용차 주행거리 1.5배 늘리고
수소 상용차 내구수명 2배 이상 연장
핵심부품 국산화로 차량 가격 30%↓
자율주행 9대 핵심부품 국산화도 추진

정부가 전기, 수소 등 친환경 상용차 보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술개발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9일 서울 엘타워에서 에너지전문가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산업 기술 로드맵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신산업 기술 로드맵은 산업통상자원부가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하는 중장기 기술개발 계획으로 올해부터 2022년까지 추진된다. 신산업 기술로 선정된 부분은 ▲전기·자율차 ▲반도체·디스플레이어 ▲IoT가전 ▲바이오·헬스 ▲에너지신산업 등 5개 항목이다.

이 중 전기·자율차 분야에는 친환경 상용차가 포함됐다. 이에 따라 전기 상용차, 수소연료전지(이하 수소) 상용차는 배터리 및 충전능력 개선을 위해 다양한 기술개발을 지원받을 전망이다.

전기 상용차의 경우 2022년까지 주행거리를 현재 대비 1.5배(50%) 늘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향상하는 기술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배터리 팩 에너지 밀도를 30% 높인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충전기술도 개선한다. 구동시스템을 고전압화해 2022년까지 400kW급 초급속 충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 시스템이 완성되면 현재 대비 충전시간이 1/3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2020년에는 전기버스용 전동식 냉난방 충전시스템 개발도 추진한다.

수소 상용차의 경우 2022년까지 내구수명을 2배 향상한 50만km로 끌어 올리고 가격을 30% 저감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핵심부품 국산화, 백금촉매 사용량 50% 감축, 트럭·버스용 전용부품 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두 대 이상의 수소차를 연속 또는 동시 충전할 수 있는 기술과 현재 대비 충전 속도가 3배 빠른 급속충전 기술 등도 중점 개발해 충전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자율주행기술 개발에도 많은 지원이 예상된다. 특히 현재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영상센서, 라이다센서 등 자율주행차 9대 핵심부품 국산화를 집중 추진한다.

이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의 세계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 시기를 한층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사업 목표는 2022년까지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 기술을 상용화하고 다목적 자율주행 셔틀 등 유망 서비스 모델을 발굴·실증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2025년까지 일반도로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기술로드맵은 공청회에서 나온 대국민 의견을 수렴해 오는 9월 중 확정·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