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율주행 상용차 기술실적 미미
해외선 대륙 간 군집주행 시험 등 활발
국가 차원 기술·제도적 지원책 시급

최근 화물운송업계가 당면한 과로운전, 운전자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자율주행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상용차에 대한 개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그 정도에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의 자율주행 트럭 시연 모습. (사진: 다임러트럭)


미래의 기술로 평가받는 자율주행 상용차 보급에 앞서 해결해야할 과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뉜다. 레이더와 카메라, 차량 네트워크 등 기술적인 부분과 운전면허, 사고 처리 등을 명시한 제도적 부분이다.

자율주행 관련 제도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기술이 뒷받침해주지 않거나 이와 반대로 기술에 문제가 없지만, 제도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도입 시 시장에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이에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 소위 화물운송 선진국으로 불리는 해외국가에서는 실도로에서 자율주행 상용차 시험주행을 수차에 걸쳐 실시하고 관련 법안을 마련하는 등 기술과 제도의 양립을 중시하며,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미미하게나마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미국의 자율주행 트럭 주행 테스트 모습. (사진: 구글)


기술과 제도에 앞선 유럽·미국

기술적인 측면에선 유럽 상용차 업체들과 일부 스타트업이 선도해나가고 있다. 그 중 다임러, 볼보트럭, 만트럭버스, 스카니아, 이베코, 다프 등이 대표적이다. 세계의 유수 상용차 업체들과 일부 스타트업이 주가 되어 기술발전을 꾀하는 모습이다. 

유럽에 둥지를 트고 있는 상용차 제조업체들은 현재 생산하고 있는 대형 상용차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시스템을 접목시키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유럽 트럭 플래투닝 챌린지 2016’을 개최해 자사의 기술력을 마음껏 뽐낸 바 있다.

이외에도 광산 같은 산업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트럭이나 도심지를 운행하는 자율주행 버스 등을 개발해 수차례 시험운행을 진행 중이다.

또한, 해외 스타트업의 경우 정형화되지 않은 자율주행 상용차를 선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전기차로 유명한 미국의 ‘테슬라’와 스웨덴 스타트업 ‘에인라이드’는  탄소배출이 없는 전기 배터리를 이용해 자율주행 전기 트럭을 보급할 계획을 밝혔고 우버가 최근 인수한 스타트업 ‘오토’는 차량을 제작하는 대신 일반 상용차에 장착할 수 있는 자율주행 키트를 개발, 지난해 시험주행을 진행했다. 

이처럼 해외에서 자율주행 상용차 개발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상용차 개발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올해 5월 현대자동차가 자사의 상용차 박람회인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에서 상용차 자율주행 기술 중 하나인 ‘군집주행’ 시연 영상을 공개 했으나, 이를 제외하면 상용차를 대상으로 공개된 개발현황은 없다. 세계의 자율주행 흐름에 한참 더딘 모습이다.

 

국내에서 자율주행의 일종인 군집주행을 시연하는 현대 엑시언트 트럭. (사진: 유튜브 캡처)


국내선, 기관·사업체들 뒷북 도입

기술적인 측면이 주로 유럽이라면, 자율주행 관련 제도는 미국이 선도해 왔다. 미국 현지 언론사인 ‘랜드라인’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미국 내 20개 주가 자율주행 관련 법안의 도입을 놓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올해 역시 27개 주가 자율주행 관련 법안을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 상원위원회 역시 최근 자율주행 트럭 산업의 미래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자율주행 트럭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을 주 골자로 제도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운전자 부족 문제가 이미 어느 정도 진행된 일본은 군집주행 형태의 자율주행 트럭을 물류 부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미래 성장전략의 핵심 기술로 선정하고 내년 2월 관련 규제 완화 등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국내의 경우 자율주행 자동차의 임시시험운행에 대한 규정을 마련한 뒤 운영 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일부 개정하는 수준이다.

또, 사업비 5,000만 원을 투자해 자율주행 자동차 도입을 위한 보험제도 및 법령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모집, 올해 말까지 사전 정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지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제도는 역시 전무하다.

전문가들이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에 있어 승용차보다 상용차의 가능성을 더 높이 산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용차만을 위한 별도의 기술개발과 제도 마련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이와 관련 한 전문가는 “사회적으로 대형사고 방지, 물류업체의 원가절감 수요, 고속도로 위주 운행으로 사업화 용이성 측면에서 시장 형성이 상용차가 승용차보다 빠를 것이기 때문에 상용차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필요”하다며, 자율주행 상용차 관련 제도와 인프라 마련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