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수급조절 시행 후 판매 분석해 보니
덤프트럭 작년 8월 82대, 올 8월 88대 등록
건설경기 경착륙·수급조절제 재연장에 이중고

지난해 8월부터 보다 엄격한 ‘건설기계 수급조절 지침’ 시행에 들어가자마자 곤두박질 쳤던 덤프·믹서트럭 실적이, 이후 다소 반등하나 싶더니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덤프·믹서트럭 등 건설용 트럭 시장 분위기가 여전히 싸늘하다. 국토부가 지난해 8월부터 보다 엄격한 ‘건설기계 수급조절 변경지침’ 시행에 들어가자마자 곤두박질쳤던 덤프·믹서트럭 실적이, 이후 다소 반등하나 싶더니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국산 및 수입트럭 업체들은 지난해 8월 이후 1년 내내 판매부진에 시달리는 모양새다.

15톤 및 25.5톤 덤프트럭과 6루베(6m3) 이상 믹서트럭으로 대표되는 건설용 트럭 시장은 지난해 8월부터 1년은 최악의 기간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국토교통부 건설기계 통계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덤프트럭 신규등록대수는 88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5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한 수치고, 동시에 올들어 처음으로 기록한 두 자릿수 성적이다. 

업계에서 최악의 실적하락이라고 일컫고 있는 지난해 8월 실적(82대)과 별반 다를 바 없다.

덤프트럭과 더불어 건설용 트럭의 양대 축인 믹서트럭도 상황이 심각하기는 마찬가지다. 올 8월 기준 믹서트럭 신규등록대수는 44대를 기록했다. 믹서트럭의 경우 올해 4월을 기점으로 실적이 크게 하락하더니 이윽고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건설경기지표 여전히 어두워

업계는 건설용 트럭 시장 최악의 부진은 정부의 엄격한 수급조절이 지속되고 있고, 여기에다 장기화되고 있는 건설경기 악화가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 대한건설협회의 주요건설경기 지표를 살펴보면 건설경기의 바로미터라고 볼 수 있는 건축착공면적이 지난 4월 1,100만㎡에서 7월 893만㎡까지 약 19% 가까이 떨어졌다.

나아가 2017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내 건설수주와 건설투자 감소세가 올해까지 지속돼 앞으로도 건설경기는 불황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2017년 하반기부터 후퇴국면에 진입한 건설경기의 경착륙이 가시화되고, 덩달아 건설용 트럭 시장 내수 회복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수급조절 연장이 가장 큰 원인
건설경기 악화보다 가장 큰 원인으로 오는 2021년까지 연장이 결정된 ‘건설기계 수급조절’을 들고 있다. 

이 수급조절제는 정부가 건설기계 신규등록을 제어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시행된 제도다. 매 2년 주기로 국토교통부 산하 건설기계 수급조절위원회가 건설기계 시장 관련 연구 보고서와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신규등록 제한 품목과 제도연장 여부를 확정 짓는다.

업계에서는 지난 7월, 국토부가 수급조절제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심리가 더욱 위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국토부는 건설투자 성장률이 감소함에 따라 덤프트럭과 믹서트럭이 현재 초과공급 상태라고 밝히며, 수급조절제 연장을 확정 지었다.

나아가 2023년까지도 초과공급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혀, 내심 수급조절제 폐지를 바라던 업계 관계자들의 기대마저도 꺾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수급조절제 찬반 입장이 첨예하게 갈라지고 있어, 이 제도가 완화되기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급조절제를 찬성하는 건설노조 측은 건설기계 수급조절 방침이 이전처럼 되돌아가면, 무분별한 운임경쟁과 이로 인한 저임금 사태가 벌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며, 수급조절제 연장을 환영하는 입장이다.

반면, 최근 몇 년간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는 상용차 업계는 시장경제 원리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며, 반대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 관계자는 “건설기계 수급조절제가 시행되며, 화물차에만 있던 영업용 번호판 프리미엄(웃돈)이 건설용 트럭에도 붙고 있다.”라며, “시장경제 원리를 무시하고 부작용까지 낳는 제도를 왜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반발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